명품에 대한 높은 가격에 열광하는 현상은 다양한 심리적인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명품은 브랜드 이미지, 품질, 특별함 등 다양한 가치를 상징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소비자들의 심리적 욕망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1. 상징적 소비와 신분 표현
명품은 종종 특별한 사회적 신분이나 성취를 상징합니다. 실제로 고가일수록 얻기 어렵고 경제적인 능력이 뒷받침 되지 않고서는 소유할 수가 없죠. 고가의 명품을 소유하면 자신의 경제적 성공이나 사회적 지위를 강조할 수 있어, 이는 자아존중과 자아이미지를 높이는 데 이용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명품을 걸친다고 하여 자아존중이 고취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부족한 경제 상황에서 진정한 자아존중 없는 지나친 명품 소비는 허탈감과 공허함만 남길 뿐이죠.
2. 사회적 비교와 경쟁
명품을 소유함으로써 사회적 비교와 경쟁에서 우위에 서려는 욕구가 충족될 수 있습니다. 명품은 특정 사회적 그룹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이에 끌려 소비자들은 명품을 통해 사회적인 인정을 얻고자 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그 양상이 좀 독특한 모습을 보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한 다리 건너면 다 안다고 할 정도로 높은 인구밀도, 좁은 사회에 살면서 너와 내가 다르다, 차별지어져야 한다는 것에 있어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옛말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있듯이 남들보다 내가 못하다는 상황은 받아들이기 어려워 합니다. 이런 비교가 짙은 사회 속에서 명품에 대한 소비, 열광은 경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3. 품질과 특별함에 대한 욕구
명품은 종종 우수한 품질과 독특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고가의 명품은 소비자들에게 특별함과 독창성을 부여하며, 이는 소비자들의 욕망을 자극합니다. 실제로 품질과 디자인이 우수한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상대적으로 훨씬 저가에 판매되는 제품들이 과연 그만큼의 질적 차이를 보이는 것이냐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단순히 '사용성'에만 초점이 맞춰지는 것이 아니며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가 클 수록, 니즈가 강할 수록 가격은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독 한국에서 명품의 가격 인상률이 가파른 것도 그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4. 광고와 마케팅의 영향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과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명품의 가치를 강조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하며, 이는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명품을 열광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나 대중들과 친밀하게 소통하는 연예인들이 비교적 가깝게 느껴지는 한국사회에서, 연예인들이 앰배서더로 활동하며 광고하는 명품들에 대한 열망 정도가 한국 사회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누구나 이 가방을 들면 이렇게 아름다워질 수 있고 이 지갑을 들면 그 브랜드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고 광고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결합하여 명품에 대한 열광을 유도하고,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을 지불하며 명품을 선택하게 만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심리에 대한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명상, 명상의 장점 (0) | 2024.01.16 |
---|---|
[도서추천] 생각이 너무 많은 어른들을 위한 심리학 - 김혜남 저자 (0) | 2024.01.16 |
(ep.쇼핑) 쇼퍼홀릭과 심리학의 관계 (0) | 2024.01.12 |
가스라이팅: 심리학적 개념 (0) | 2024.01.11 |
광고심리학의 핵심 개념 (1)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