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에 대한 모든 것

심리학개론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

by 봉쥬르마담 2023. 5. 20.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1. 기초심리학: 기초심리학은 심리학의 핵심 이론, 개념, 연구 방법 등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인간의 인지, 감정, 학습, 기억, 인지 발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심리적 과정과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실험, 조사, 모델링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합니다. 인지심리학, 발달심리학, 생리심리학 등이 기초심리학의 분야에 속합니다. 기초심리학은 심리학의 기반이 되는 이론과 지식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응용심리학: 응용심리학은 심리학의 이론과 원리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문제 해결과 개선을 목표로 하는 분야입니다. 응용심리학은 실생활에서의 문제를 다루며, 개인, 집단, 조직,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임상심리학, 교육심리학, 사회심리학, 조직심리학, 건강심리학 등이 응용심리학의 분야에 속합니다. 응용심리학은 심리학의 지식을 현실적인 문제에 적용하여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론과 연구를 기반으로 실제 상황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이 두 분야는 심리학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며, 심리학의 발전과 실용성에 기여합니다.

아래에는 주요한 심리학의 분야 몇 가지를 설명하겠습니다. 


1. 실험심리학: 실험심리학은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의 행동과 인지 과정을 연구합니다. 실험심리학자들은 실험을 설계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간 행동의 원리와 규칙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인지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인지 발달심리학 등이 실험심리학의 분야에 속합니다.


2.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사회적 행동, 태도, 인간관계, 집단 다이내믹스 등을 연구합니다. 사회심리학은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적 인식, 사회적 영향력 등을 탐구하여 사회적 환경에서의 개인행동과 인지 과정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3. 발달심리학: 발달심리학은 개인의 발달 과정을 연구합니다. 아동, 청소년, 성인 등 각 단계에서의 심리적인 변화와 발달의 원리를 탐구합니다. 발달심리학은 인지, 사회, 정서 발달 등을 다루며, 발달 장애와 발달 차이에 대한 이해도 포함됩니다.


4.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은 심리적 문제와 장애,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 평가, 상담, 치료 기술을 사용하여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합니다.


5. 인지심리학: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인지 과정과 정보 처리 방식을 연구합니다. 인지심리학자들은 인지, 기억, 지각, 학습 등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며, 컴퓨터 모델링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인간의 정보 처리 메커니즘을 모델링하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성격심리학, 생리심리학, 동물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건강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들은 상호 연관되며 심리학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심리학의 분야는 항상 진화하고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심리학 분야 10개를 소개합니다. 

1. 인지 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인지 신경과학은 심리학과 뇌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심리학적인 현상과 뇌의 구조, 기능, 신호전달 경로 등을 연결하여 인간의 인지 과정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2. 건강심리학(Health Psychology): 건강심리학은 심리적 요인과 생리적 요인이 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건강증진, 질병 예방, 건강한 행동 변화 등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3.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학은 개인의 행복, 만족, 창조성, 감사 등 긍정적인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긍정적인 감정과 경험의 역할을 강조하며, 개인의 삶의 질과 웰빙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4. 다문화 심리학(Cross-cultural Psychology): 다문화 심리학은 문화적인 차이가 인간의 심리적 과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문화 간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심리적 지식과 접근 방법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5. 사회 인지(Social Cognition): 사회 인지는 개인이 사회적인 환경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연구합니다.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태도, 인지적 인식, 인지적 편향 등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6. 행동 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행동 경제학은 경제학과 심리학을 결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인 요인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적인 선택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개선하고 정책 결정에 활용합니다.

7. 기계 학습과 심리학(Machine Learning and Psychology): 기계 학습과 심리학은 인공지능 분야의 기계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심리학적인 과정과 행동을 모델링하고 예측하는 분야입니다. 기계 학습을 통해 인간의 인지, 감정, 행동 패턴 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됩니다.

8. 정신건강 심리학(Mental Health Psychology): 정신건강 심리학은 정신 질환의 원인과 치료를 연구합니다. 정신 질환의 진단, 평가, 치료 기법을 개발하고, 정신 건강의 촉진과 복원을 목표로 합니다.

9. 심리적 유연성(Psychological Flexibility): 심리적 유연성은 삶의 어려움과 도전에 대처하는 능력을 연구합니다. 개인의 탄력성, 적응력, 자기 성장 등을 강화하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10. 사회심리적 네트워크(Social Psychological Networks): 사회심리적 네트워크는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가 인간의 태도, 행동,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사회적 연결성과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여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최근에 주목받는 몇 가지 심리학의 분야들로,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